1. 단백질을 그냥 먹기만 해선 안되는 이유
헬스나 기타 다른 운동을 하시는 분들이라면,
단백질의 중요성에 대해 잘 알고 이미 섭취하고 계시는 분들도 많을 것 입니다.
하지만 정말 그냥 먹기만 한다고 우리 몸에 전부 섭취되고 그것이 제대로 사용 될까요?
이것까지 신경을 써야 한다면 운동을 하기 싫어질 수 있지만
남들보다 효율적으로 성장하고 빨리가고 싶어하는 성질은 모두가 가지고 있는 것 이기 때문에
같은 단백질이라도 효과적으로 분해하고 흡수해서 힘들게 섭취 한 단백질이
제대로 쓰이지 않는 경우가 없도록 해봅시다.
우선 단백질의 소화과정부터 알아봅시다
단백질은 보통 간을 포함한 기타 장기들이 소화하고 흡수하는데
이때 '효소'라는 친구에 의해서 단백질이 분해됩니다.
그 과정에서 단백질은 '아미노산'이라는 단백질의 가장 기본단위로 변하게 되는데
한마디로 단백질을 아무리 많이 먹고 노력해도
효소라는 친구가 근본적으로 일을 제대로 못 한다면 단백질이 그냥 배설물로써 나오게 되겠죠
그래서 우리는 섭취 한 단백질이 제대로 일을 할 수 있도록
효소를 도와주는 특정 영양소를 섭취하는 방식으로 단백질을 효율적으로 운용 할 수 있습니다.
크게 2가지의 영양소가 있는데 쉽게 말씀드리자면
칼륨과 미네랄 정도 입니다.
이것을 굳이 따로 뭔가를 구매해서 챙겨드신다기보단
그저 야채나 비타민이 많이 들어간 음식들을 의식하여 챙겨 먹는 정도로도 충분하다고 생각되지만
정말 제대로 하고 싶다 하시는 분들은 '마이프로틴'과 같은 곳에서 미량영양소를 따로 판매하고 있기에
찾아보시는 것을 추천드리고
나머지 분들은 야채나 지용성 비타민 등등의 영양소를 의식하여 챙겨드셔야 합니다.
운동을 하는 사람들이 생각보다 많이 놓치는 것이 의외로 이것들이며
단백질 섭취량에 신경쓰는 많큼 다른 영양소도 정말 중요하다는 사실을 잊으면 안됩니다.
2. 단백질의 역할
혹시나 운동 할때에 단백질을 왜 먹어야 하는지 아직 깊게 이해 못 하고
그냥 먹으라 해서 섭취하는 분들이 계실수도 있어 짚고 넘어가겠습니다.
단백질은 쉽게 이해하자면 재료입니다.
게임으로 따지면 강화재료라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근육에 아무리 과부하를 주고 자극을 주고 손상을 줘도
그것을 강화 할 재료가 없으면 우리가 오늘 한 운동은 운동이 아니라 노동이 되는 것 이죠
영양학적인 측면에서 보는 단백질은
1. 신체구조의 구성원 (머리카락, 손톱 등등)
2. 비상 에너지원
3. 신체신호전달 및 면역기관 항체의 주요 성분
등이 있지만, 우리가 운동을 안 한다고 가정하고 근육을 늘리기 싫은 사람이라면
단백질을 섭취해도 단백질이 저 정도 역할만 하겠지만
운동을 하고 근육에 자극을 주고 헬스를 하는 사람이라면
단백질은 저것 뿐만이 아닌 다른 역할들도 하게 됩니다.
운동을 하면 할 수록 몸에서 단백질을 많이 원하고
수용 할 수 있는 상태로 변하게 됩니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의 경우 몸무게 정도만 단백질을 먹거나
그것보다 적게 섭취해도 큰 문제가 일어나지 않지만
헬스를 하는 사람들은 몸무게의 1.8배 정도 섭취해야 한다고 권장하죠
앞으로도 더 많은 정보와 지식으로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기타 글들
단백질 보충제 뭘 먹어야 할지 모르는 분들을 위한 가이드라인
1. 단백질 보충제 설명 및 추천 자 우선 보충제는 운동을 할 때에 단백질을 보다 간편하게 채우기 위한 '식품'이죠 오늘 글에서는 시중에 너무나도 많은 보충제가 나와있어 선택이나 아니면 그냥
more-easy04.com
단백질 보충제의 진실, 꼭 먹어야 할까?
1. 단백질 보충제의 필요성 운동을 하고 있는 분들이라거나 운동을 시작하려고 생각하고 계신 분들은 단백질 보충제의 존재를 알고 계실겁니다. 단백질 보충제는 대두나 우유의 단백질들을 분
more-easy04.com
'운동과 헬스 > 기타 운동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반인이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 어떻게 될까 ? (아나볼릭 스테로이드) (0) | 2023.06.21 |
---|---|
아나볼릭 - 카타볼릭 근비대를 위한 내 몸 이해하기 (헬스, 운동) (0) | 2023.06.14 |
저중량 고반복으로도 근성장이 정말 가능한지에 대해 (0) | 2023.06.13 |
점진적 과부하의 중요성과 치명적 오류 (0) | 2023.06.11 |
초보자들을 위한 근비대 뜻과 원리, 기본설명 (0) | 2023.06.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