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과 헬스/운동용품 및 보조제, 보충제 정보

크레아틴 복용법, 부작용 및 효능,효과 전부 여기에

by 헬운모 2023. 5. 28.
반응형

 

1. 크레아틴의 부작용 및 효능

가장먼저 크레아틴의 부작용을 알려드리자면 거의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크레아틴을 먹고 탈모가 왔다거나 다른 질환이 생겼다고 하는 것을 크레아틴이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전혀 생각하지 않고 말 한 이치가 맞지 않는 소리이며 크레아틴의 일부는

크레아티닌으로 변하고 혈액을 거쳐 소변으로 배출되기 때문에,

혈액검사나 소변검사에서 '신장이 안좋다' 라는 결과가 나올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크게 걱정 할 필요가 없는 부분이며 부작용에 대한 결론은

적당량을 정상적인 방법으로 섭취하였다는 가정하에 없다고 봐도 무방합니다.

나머지 이유는 효과설명을 보시면 이해가 가실겁니다.

 

크레아틴을 기본적으로 약물처럼 생각하시는 분들이 있는데

소고기같은 음식에 많이 포함된 성분이나 우리는 매일 소고기를 사서 먹을 수가 없기 때문에

단백질 보충제와 같은 원리로 간편하게 분말이나 알약으로 섭취 해 주는 것 입니다.

어려우시겠지만 자세하게 설명드리자면 우리 몸의 근육이 수축을 할때에,

즉 힘을 쓸때에 ATP라는 물질이 ADP로 분해됩니다.

그리고 그 ADP가 다시 ATP로 재합성 되어야 힘을 다시 쓸 수 있는데

크레아틴은 이 부분에서 ADP가 ATP로 재합성 되는 것을 돕습니다.

다시 간단하게 설명드리자면 전반적인 근력의 상승과

여러분이 원래 7개를 들 수 있던것을 8개, 9개까지 들 수 있게 해주는 성분입니다.

크레아틴은 약물이 아니며 올림픽에서 허가 된 말 그대로 보충제의 개념입니다.

개인적인 견해로나 많은 사람들의 의견을 들어보았을때,

현존하는 보충제의 개념중에서 가장 효과가 좋은 보충제입니다.

이를 받침하는 많은 해외논문이나 정보의 양이 조금 적지만 국내 논문들도 많은데,

논문자료까지 가지고 오면 읽기 힘드실거같아 넘기겠습니다.

2. 크레아틴의 복용법

크레아틴의 복용법에 관해 많은 의견이 있습니다.

하루에 몇 g을 섭취해야 하는지 각 논문마다 다르고 누구는 

크레아틴을 일주일동안 많이 섭취해서 몸에 쌓아두고 그 뒤에 정상적이게 먹는 소위

'로딩' 방식을 사용해서 섭취해야 한다고 말 하고 누구는 그냥 자연스럽게 쌓이게 처음부터

적당량 먹는 것이 좋다고 말 합니다.

일단 가장 기본적인 크레아틴 하루 섭취량은 3~5g입니다.

크레아틴의 로딩 개념이나 그냥 먹는 방식같은 복용법은 아직 기준이 명확하게 잡히진 않았지만,

국내 보디빌더들이나 운동채널에서 가장 많이 이야기 하는 방식은

그냥 하루에 3~5g을 운동후에 섭취하는 방식입니다.

크레아틴은 부스터와 같은 개념이 아니고 저장형 개념이기 때문에,

가장 흡수율이 좋은 운동 후에 섭취하는 것이고

전날 먹은 크레아틴은 우리 몸에 저장되어 다음날 운동할때 쓰인다고 생각하면 편하겠습니다.

 

*주의점*

부스터와 같은 보충제에도 크레아틴이 들어있을지 모르니 자신이 기존에 먹던 보충제나 부스터의

성분을 꼭 확인한 뒤 계산해서 섭취할 것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