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동과 헬스/운동법 소개

헬스장없이 맨몸으로 몸 만드는 법 (중량의 중요성)

by 헬운모 2023. 5. 13.
반응형

 

 

1. 맨몸운동으로 중량을 올려라

헬스장이 맨몸운동보다 더욱 더 근성장이 빨리 일어나고,

한계점이 더 높은 이유는 바로 다름아닌 중량입니다.

맨몸운동같은 경우 팔굽혀펴기나 턱걸이가 있는데 전적으로 여러분의 몸이 중량이므로,

아마 조금만 숙련돼도 가볍게 20개는 넘기실 겁니다.

20개를 한번에 할 수 있는 것 부터 무거운 중량이 아니라는 이야기이고 그로 인해

원판의 다양성이 있는 헬스장보다 근성장이 더딜 수 밖에 없는 것이죠.

쉽게 접근하면 이를 해결 할 수 있습니다.

우리가 팔굽혀펴기를 하던 턱걸이를 하던 10개도 하지 못 하도록 중량을 올리는 것입니다.

턱걸이를 할 때에 가방에 무거운 것을 넣고 한다던지 팔굽혀펴기를 할 때에

등에 무거운 것을 지고 하는 것입니다.

제가 다른 글에서도 설명했듯이 고중량의 중요성은 항상 설명해도 모자랍니다.

근육이 분명 힘들어야 다음 운동에 성장이 있고 우리 몸이 더욱 더 강한 힘을 가질 이유를 만듭니다.

과부하라는 것 그 자체가 근육에 주어져야 우리 근육은 이유를 느끼고 성장하는 것인데,

여러분이 팔굽혀펴기를 40개씩 5세트를 해서 200개를 매일 채우더라도

한 세트가 40개면 이미 그만큼 할 수 있고 한개한개가 그만큼 힘들지 않기 때문에

40개라는 숫자가 한 세트에 이루어질 수 있는 것입니다.

그럼 근육은 힘들어 하겠지만 성장의 이유를 느끼지 못 합니다.

그저 에너지 소비만 되는 것이죠,

맨몸운동이 한계점이 낮은 이유도 이 때문입니다.

근육에 항상 과부하를 주도록 운동하면 성장을 하지 않은 이유가 없으며

고중량이 맨몸운동으로도 충분히 헬스장의 효과를 낼 수 있는 방법입니다.

맨몸운동을 수행하실때 10개를 해도 더 할 수 있을 것 같으면 항상

어떻게 해야 더 힘들고 더 무겁게 할 수 있을까를 고민 하시면 여러분은 충분히 헬스장 만큼의 근성장이 가능하십니다.

가슴운동으로는 당연 팔굽혀펴기를 추천드리며 점차 중량을 늘려가시길 바랍니다.

등 운동으로는 턱걸이만한게 없기 때문에 턱걸이를 하시면 됩니다.

어깨운동으로는 파이크푸쉬업을 추천드립니다.

하체같은 경우는 아무리 무거운것을 들고 스쿼트를 하더라도 헬스장이 아닌 점이 너무 크게 작용하는 것이

하체이기 때문에 분명 성장은 가능하시지만 헬스장을 따라잡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상체는 충분히 따라잡으실 수 있으며 시간에 제약이 있으신 분들은

오늘 제가 설명드린 방법으로 운동을 진행해보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2. 헬스장에 다니는 것 처럼 먹기

가끔 맨몸운동을 한다고 그냥 건강하게만 드시고 단백질에 크게 신경 안쓰시는 분들이 있는데,

우리는 헬스장 만큼의 성과가 목표이며 운동 강도도 그만큼 가져갈 겁니다.

그렇다면 헬스장에 다니는 것 처럼 단백질 섭취를 하셔야 하며

근성장이 목표이기 때문에 탄수화물도 충분히 채워주어 에너지를 보존해야 합니다.

하루 4끼 정도 일반식으로 드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닭가슴살은 3개 정도가 적당할 것 같습니다.

계란으로 채워야 하는 분들이라면 힘든 소리이지만 하루에 삶은계란 10개는 드셔줘야 합니다.

제 글중에도 설명 한 적이 있지만 근성장은 여러분의 생각보다 많은 단백질을 필요로 합니다.

몸무게의 1.8배 정도를 g 단위로 바꾸어 드셔야 합니다

ex) 60kg 남성이라면 하루 단백질 섭취량 110g

이 정도로 드셔야 여러분이 운동 한 것이 헛되게 날아가지 않습니다.

하지만 이 마저도 자신이 원하는 운동 성과에 따라 조금씩 바뀔 수 있습니다.

빠르게 벌크업을 하고 싶으신 분들도 계실 것이고,

지방의 증가 없이 천천히 근육만을 늘려가고 싶으신 분들도 있으실 겁니다.

제 글들은 둘 다 다뤄놓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이상으로 헬스장 없이 맨몸으로도 헬스장만큼의 운동 성과를 내는 법을 알아보았습니다.

과부하의 원리를 항상 기억해주시고 모든 운동에 적용시켜 주시면 됩니다.

항상 부상과 자세에 신경쓰시며 운동하시길 바라겠습니다.

앞으로도 더 많은 운동 지식과 팁으로 여러분을 찾아뵙겠습니다.

반응형